목록Explanation/Python (3)
지나가던 개발자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esfB/btrMNNgfpZc/7WEfANgii2qwAXmabtOxQK/img.png)
코딩을 할 때에, 정수 리스트의 전체의 합을 구해야 하는 일이 생긴다. 안 생겼다면 유감이지만 그건 코딩을 많이 안 해본 거다.. 간단한 알고리즘으로는 다음과 같은 코드를 생각할 수 있다. l = [1, 2, 3, 4, 5] s = 0 for i in l: s += i print(s) 이렇게 구할 수 있다. 그런데 이 방법은 너무 길다. 긴 코드를 써야 한다. Pythonic한 방법이라고 보기 힘들다. 파이썬에서는 이렇게 코드를 짤 수 있다. sum(리스트)
Explanation/Python
2022. 9. 22. 22:10
[Python]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 개수 구하기
살다 보면, 가끔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고 하다. examples = [1, 1, 0, 0, 1, 0, 1] zeros = 0 for example in examples: if example == 0: zeros += 1 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3이라고 제대로 된 출력결과가 나온다. examples 리스트 안의 모든 요소를 검색해서 특정 요소가 맞는지 아닌지 검사하는 코드이다. 그렇지만 늘 그렇듯 파이썬의 내장함수는 매우 뛰어나다. 당연히 리스트 안의 특정 요소를 세는 함수도 있을 것이다. examples = [1, 1, 0, 0, 1, 0, 1] zeros = examples.count(0) 이렇게 {리스트명.count(특정 요소)}를 사용하면 매우 쉽게 리스트 내 ..
Explanation/Python
2021. 12. 26. 16:59