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전체 글 (317)
지나가던 개발자

test_case = [] while True: a = input() if a == "#": break test_case.append(list("".join(list(a.lower())))) for i in test_case: print(i.count("a") + i.count("i") + i.count("u") + i.count("e") + i.count("o")) 일본에서는 아에이오우를 아이우에오 라고 한다. 어쩌다 보니 아이우에오 라고 쓴 나 자신을 발견했다.

s = input() suffix = [] for i in range(len(s)): suffix.append(s[i:]) for i in sorted(suffix): print(i) 접미사들을 suffix라는 리스트에 넣은 뒤 그 리스트를 정렬하여 하나씩 출력했다.

나는 유학 가고싶은데... 흙흑ㄱ.. (?) cambridge = list('CAMBRIDGE') for i in input(): if i in cambridge: continue print(i, end='')

아서 C. 클라크가 쓴 소설이자, 그에 기반해 제작되어 1968년 4월 3일에 미국에서 최초로 개봉한 SF 영화이다. 영화는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 연출하였고 각본은 큐브릭 감독과 클라크가 함께 작성하였다. 소설과 영화 둘 다 걸작으로 인정받고 있으며, SF 장르를 논할 때 반드시 짚고 넘어가는 소설과 영화이다. 문제에 나오길래 나무위키에 문서를 검색해보니 이런게 나왔다. 1968년 영화라니... SF 장르에서 대작인 것 같으니 나중에 시간되면 한번 봐봐야겠다. from string import ascii_uppercase computers = [] alpha_list = list(ascii_uppercase) for i in range(int(input())): computers.append(input(..

a = input() b = input() if len(a) >= len(b): print("go") else: print("no") 저스틴 비버 콘서트라니.. 나는 저스틴 비버라는 아티스트를 잘 모르지만 유명한 사람인 것은 알기에 부럽다.

import math def is_prime(n): if n == 1: return False if n % 2 == 0: if n == 2: return True return False if n % 3 == 0: if n == 3: return True return False if n % 5 == 0: if n == 5: return True return False if n % 7 == 0: if n == 7: return True return False if n % 11 == 0: if n == 11: return True return False if n % 13 == 0: if n == 13: return True return False if n % 17 == 0: if n == 17: return ..

a = [] for i in range(int(input())): a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 for b in sorted(a): print(b[0], b[1]) 파이썬 만세! 라고 외치고 싶은 문제다. sorted() 최고...!

n = int(input()) i = 1 hihi = int(str(n)[-1] + list(str(sum(list(map(int, str(n))))))[-1]) if hihi == n: print(1) else: while True: hihi = int(str(hihi)[-1] + list(str(sum(list(map(int, str(hihi))))))[-1]) i += 1 if hihi == n: print(i) break 수를 입력받은 뒤, 문제에서 주어진 대로 주어진 수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와 앞에서 구한 합의 가장 오른쪽 자리 수를 이어 붙이는 코드이다.

def is_prime(n): if n == 1: return "It is a prime word." for i in range(2, n): if n % i == 0: return "It is not a prime word." return "It is a prime word." s = 0 for i in input(): if i.islower(): s += ord(i) - 96 else: s += ord(i) - 38 print(is_prime(s)) 입력받은 문자열에 해당하는 숫자를 s 변수에 더한 후, 그가 소수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. is_prime() 함수는 저번에 쓴 글에서 가져왔고, ord() 함수도 다른 글에 설명해 놓았다. islower() 도 다른 글에 설명해 놓았다. (이제 글이 좀 쌓..

for i in input(): if i.isupper(): print(i.lower(), end='') else: print(i.upper(), end='') 파이썬의 isupper()은 문자열이 대문자인지 True or False로 반환하고, lower()은 소문자로 변환, upper()은 대문자로 변환한다. 그런데 다른 사람들 코드를 살펴보니, 나보다 훨씬 짧고 간결한 코드를 낸 사람이 있었다. print(input().swapcase()) swapcase()라는 함수가 있었다...! 가슴이 웅장해지는 함수다.

그저 단순한 정렬 문제인 것 같다. members = [] for i in range(int(input())): members.append(input().split()) age = [] for m in members: age.append(int(m[0])) age = sorted(age) for i in range(len(age)): j = 0 while True: if members[j][0] == str(age[i]): break j += 1 print(age[i], members[j][1]) del members[j] 이렇게 짜니 시간 초과가 떴다. 하긴 N이 100000까지인데 100000짜리가 들어온다면 반복문을 엄청나게 돌려야 하니... 그래서 이번에는 다른 블로그를 참고해서 이렇게 코드를 짜..

print(max([sum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, sum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])) 와.. 대한, 민국, 만세라니... 진짜 오랜만에 듣는 이름이다. 옛날에 초등학교 저학년때 를 처음 했었는데, 그때 기억나는 애들이 대한, 민국, 만세, 그리고 사랑이. 이렇게 기억난다(이제 보니 이름 특이한 애들만 기억나는것 같다.). 이때는 가 진짜 재밌었는데, 최근에 보니까 모르는 애들만 나오고 좀 가식적이게 된 것 같아서 별로...

test_data = [] for i in range(int(input())): test_data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 for i in range(len(test_data)): test_data[i] = [x for x in test_data[i] if x%2==0] print(sum(test_data[i]), min(test_data[i]))

people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people = people[0] * people[1] newspaper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for a in newspapers: print(a - people) P㎡인 공간에서 1㎡ 당 사람이 L 명 왔으니 전체 온 사람 수는 P*L 명이 된다.

n = int(input()) hihi = [] while True: a = int(input()) if a == 0: break hihi.append(a) for hi in hihi: if hi % n == 0: print(str(hi) + " is a multiple of " + str(n) + ".") continue print(str(hi) + " is NOT a multiple of " + str(n) + ".")

day = input() cars = input().split() print(cars.count(day))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의 개수를 구하는 법은 저번에 다뤘었다. https://developer-next-to-you.tistory.com/33 [Python]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 개수 구하기 살다 보면, 가끔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 필요할 때도 있고 하다. examples = [1, 1, 0, 0, 1, 0, 1] zeros = 0 for example in examples: if example == 0: zeros += 1 이렇게 코드를 작.. developer-next-to-you.tistory.com

a, b, c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hihi = int(a*b/c) haha = int(a/b*c) if hihi > haha: print(hihi) else: print(haha) 곱하기나 나누기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은 2개뿐이니 a*b/c와 a/b*c를 계산한 값 중 큰 값을 출력하면 된다.

import math n, k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print(int(math.comb(n, k)%10007)) 저번 11050번(이항 계수 1) 문제의 코드에서 약간만 수정했다.

음... 나는 중학생이라 이항 계수가 뭔지 잘 모른다. 조합론에서, 이항 계수(二項係數, 영어: binomial coefficient)는 이항식을 이항 정리로 전개했을 때 각 항의 계수이며,주어진 크기의 (순서 없는) 조합의 가짓수이다. 위키백과의 이항 계수 문서를 인용했다. 근데 뭔말인지 잘 모르겠어서 모듈을 써야겠다 생각하고 구글링을 좀 해봤다. 고등학생이나 대학생 되면 알게 될 걸 굳이 지금 기본기도 안잡혀있는데 알 필요는... https://www.delftstack.com/ko/howto/python/calculate-binomial-coefficient-python/ Python의 이항 계수 이 튜토리얼에서는 이항 계수와 Python에서 이를 계산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. www.delftsta..

abc = [] for i in range(3): abc.append(int(input())) abc = list(str(abc[0]*abc[1]*abc[2])) for i in range(10): print(abc.count(str(i))) 리스트에서 특정 요소를 세는 법은 저번에 포스팅했었다. 숏코딩들을 둘러보다가 다른 사람의 코드도 하나 발견했는데, 가장 기억에 남는 코드를 하나 올려볼까 한다. import math A = input() A = int(A) B = input() B = int(B) C = input() C = int(C) D = A * B * C if D > 9999999: if D > 99999999: D1 = D%10 D2 = math.floor(D/10)%10 D3 = math..

print([0, 1, 1, 2, 3, 5, 8, 13, 21, 34, 55, 89, 144, 233, 377, 610, 987, 1597, 2584, 4181, 6765][int(input())]) 이게 좋은 코드라고는 못하겠다. 하지만 매번 수열 문제를 풀 때마다 이렇게 한번 풀어보고 싶었다. 이해하기는 쉽다. n이 2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 또는 0이기 때문에 길이가 21인 피보나치 수열 리스트를 만들어서 그 n번째 요소를 출력하는 코드이다. n이 100보다 작거나 같은 것도 아니고, 20정도는 이렇게 푸는 것도 나쁘지 않은 방법인 것 같다.

쉽게 풀릴 것만 같았는데 생각을 좀 해봐야 풀리는 문제였다. 처음에는 코드를 이렇게 짰다. a, b, c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production_price = a revenue = 0 i = 0 if b >= c: print(-1) else: while True: i += 1 production_price += b revenue += c if production_price < revenue: print(i) break 그랬더니 시간초과가 났다. 당연히 제한시간이 0.35초인데 만 봐도 2100000001번 반복문을 돌려야 하는 비효율적인 코드였던 것이다. 그래서 생각을 좀 해본 뒤에 코드를 다시 짰다. a, b, c = list(map(int, input().sp..

hihi = set(range(1, 10001)) hehe = [] for i in range(1, 10001): hehe.append(i+sum(list(map(int, str(i))))) haha = sorted(list(hihi-set(hehe))) for i in range(len(haha)): print(haha[i]) '어떤 정수와, 그 정수의 각 자리 숫자의 합'으로 나타낼 수 없는 수 제타위키의 셀프 넘버 문서의 일부를 인용했다. 셀프 넘버란, 어떤 정수와 그 정수의 각 자리 숫자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는 수를 뜻한다. https://wook-2124.tistory.com/252 백준 알고리즘 | 4673 : 셀프 넘버 (Python / 파이썬) 셀프 넘버 성공출처다국어분류 시간 제한 메모..

test_case = [] for i in range(int(input())): test_case.append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) for i in range(1, len(test_case)+1): print("Case #" + str(i) + ": " + str(sum(test_case[i-1])))

for i in range(int(input())): print("SciComLove")

hihi = 0 while True: haha = int(input()) if haha == -1: break hihi += haha print(hihi) 사장님 하니까 오징어게임 알리가 떠오른다...

hihi = int(input()) if hihi == 0: print("YONSEI") else: print("Leading the Way to the Future") 연세가 "Yeonsei"가 아니라 "Yonsei"네... ㄷ

import datetime print(datetime.datetime.now().strftime('%Y-%m-%d')) 이렇게 datetime 모듈로 오늘 날짜를 불러올 수 있다.
a²+b²≥ab 에서 우변을 좌변으로 이항하면 a²-ab+b²≥0, a²-ab+b²/4+3b²/4≥0, (a-b/2)²+3b²/4≥0 인데, (a-b/2)² 와 3b²/4 모두 실수이기 때문에 제곱하면 양수이다. 따라서 a²-ab+b²≥0, a²+b²≥ab 가 된다.

from itertools import permutations n, m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items = list(permutations(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, 3)) for i in range(len(items)): items[i] = sum(items[i]) items = list(set(items)) if m in items: print(m) else: items = [x for x in items if x