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록PS/Python (269)
지나가던 개발자

일본어 문제이다. 간단히 번역해 보자면, 조이의 키가 1년 전에는 A cm였다가 지금은 B cm가 됐다고 한다. 조이의 키가 얼마나 성장했는가에 관한 문제이다. 입력은 작년의 키가 첫째 줄에, 지금 키가 둘째 줄에 입력된다. a = int(input()) b = int(input()) print(b-a) 문제는 간단한 문제였지만, 내 일본어 실력이 꽤 늘어 이런 글을 읽고 무슨 뜻인지 알 수 있었다는 것이 기쁘다.

의 A번 문제이다. a = int(input()) b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c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print(len(b)*c[0]//100, end=' ') n = 0 for i in range(len(b)): if b[i] >= c[1]: n += 1 print(n) 퍼센트 계산법을 몰라서 좀 해맸다... ww 전체값의 몇 퍼센트를 구하려면 "(전체값) * (퍼센트) / 100" 공식을 사용하면 된다.

...? 열심히 구글링해 보았다. 예능에 가까운 문제... (웃음) 이 노래의 이름은 Hymn To Love이다. print("Hymn To Love") ㅋㅋㅋ. 이런 문제가 다 있네.

수가 주어지면 그 수를 5와 3으로 딱 떨어지게 나누는데, 가장 최소값이 나오게 나누라는 문제이다. kg = int(input()) hihi = kg // 5 while True: if (kg - hihi*5) % 3 == 0: print(hihi + (kg - hihi*5) // 3) break hihi -= 1 if hihi == -1: print(-1) break 우선 수를 입력받은 뒤, 그 수를 5로 나누어 hihi 변수에 저장한다. 그 뒤에 나온 나머지를 3으로 나눠서 나누어떨어지면 hihi와 그 뒤에 나온 나머지를 3으로 나눈 몫을 더하여 출력한다. 만약 3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으면 hihi 변수를 1 줄인다. 만약 절대 5와 3으로 나누어떨어지지 않고 hihi가 -1이 되었을 경우에는 -1을..

numbers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hihi = 0 for number in numbers: hihi += number ** 2 print(hihi % 10) 고유번호 5자리를 입력받은 후, 그 숫자들의 제곱수를 hihi 변수에 저장한다. 그 뒤 hihi를 10으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하는 코드이다. 나는 hihi라는 변수명을 자주 쓴다. 뭔가 변수명을 뭘로 할까 고민중인데 좋은 아이디어가 안 날때, a나 b를 쓰는 사람들도 있던데 나는 hihi와 hehe, haha와 같은 변수명을 자주 쓰는 편이다.

answer = 0 for i in range(1, int(input())+1): answer += i print(answer) 1부터 n까지의 합을 출력하였다. 사실 나처럼 풀어도 되지만 1부터 n까지의 합은 {n(n+1)}/2 라는 공식을 이용해 풀어도 된다. 사실 이렇게 공식을 사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인 방법이다.

answers = [] while True: a = list(map(int, input().split())) if a == [0, 0]: break answers.append(a) for answer in answers: print(sum(answer)) while문과 for문을 같이 사용했다. (사실 늘 이렇게 문제를 풀고 어떤 코멘트랄까 썰을 푸는데 이 문제에는 진짜로 뭘 남길게 없다..ㅠㅠ)